최근 직장 갑질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정말 급한 경우 또는 업무를 지시받는 사람이 이해해 줄 수 있는 수준을 넘어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퇴근 후 업무 지시의 현실과 어떤 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퇴근 후 업무 카톡의 현실
오픈서베이라는 업체의 2021년 조사에 따르면 젊은 층에서 '퇴근 후에 업무를 지시받아 스트레스 받는다'에 과반 수가 응답했다고 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도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스트레스의 이유 1위는 압도적(58%)으로 '공적 생활과 사생활의 분리되지 않음'이었습니다.
이처럼 수많은 직장인들 특히 그중 소위 MZ 세대라고 불리는 젊은 층에서 퇴근 후 업무 관련 메신저가 오는 것에 부담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과거 세대보다 자신의 개인적인 생활을 중요시하는 세대이기 때문에 사생활에 대한 존중이 필요해 보입니다.
2. 퇴근 후 업무 메신저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나?
안타깝지만 '퇴근 후 메신저로 업무 지시'는 보호받을 법적 장치가 아직 없습니다. 지난 20대 국회에서 당시 신경민 의원이 '퇴근 후 업무지식 메신저 금지'와 비슷한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였지만 지나친 과잉 규제라는 이유로 인하여 통과되지 못했습니다.
그 후 아직까지 뚜렷한 대책을 제대로 내놓지 못하고 있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메신저로 업무를 지시 받는 상황이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오히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퇴근 이후 업무 카톡이 직장 내 갑질의 사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3. 기업과 메신저 업체들의 노력
이러한 불만이 쌓이고 법의 구제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메신저 업체 카카오톡은 업무 전용 메신저 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또, 다른 업체들도 업무 전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는 메신저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한편, 기업은 조직적 차원에서 내부 방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특정 시간 이후 업무 내용을 담은 메신저 금지 규칙을 세우고 있지만 아직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습니다. 현재 직장인의 80%가 경험한 퇴근 후 업무 지시 메신저 연락을 하루빨리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장치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4. 지속적인 카톡 업무 지시의 현실적인 대응 방법은?
지속적인 메신저 업무 지시가 계속하여 이루어질 경우 갑질의 사례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우선, '직장갑질 119'에 정식적인 상담을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고용노동부가 배포한 '직장 내 괴롭힘 판단 및 예방·대응 매뉴얼'에 따르면, 개인적인 내용의 일이라고 하더라고 메신저 상에서 업무 시간 외에 대답을 강요하는 행위는 신고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하여 고통받지 마시고 고용노동부 1350에 전화하시길 바랍니다. 온라인 서류로 진정 접수도 가능합니다. 고용노동부 민원마당 - 민원신청을 활용하여 접수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퇴근 후 카톡으로 업무 지시와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지속적으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면 직장 갑질의 사례에 해당하니 신고할 이유가 충분히 됩니다. 해당 내용과 관련하여 정신적으로 고통을 겪고 계시다면 주저 없이 위에 적힌 대응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사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상식] 중대재해 처벌법 주요 내용 쉽게 알려드립니다. (0) | 2021.07.17 |
---|---|
[네이버 직원 갑질] 직장 내 괴롭힘 급지법을 알아봅시다 (0) | 2021.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