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식을 정리하여 전달하는 블랙스완입니다. 오늘은 SNS로 인하여 증가하는 파노플리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비의 형태이기 때문에 이해하시는데 크게 어렵지는 않으실 겁니다.
1. 파노플리 효과의 정의
파노플리 효과(Panoplie effect)는 프랑스의 학자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가 처음 주장하였습니다. 보드리야르는 소비에도 개인이 가진 이상이 투영된다고 말하며 그 때문에 고가 브랜드에 눈을 돌린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파노플리 효과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떤 상품을 소비하면서 그 상품의 주된 소비 계층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현상
2. 파노플리 효과의 사례
파노플리 효과는 사례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우선, 특정 연예인이 고가 브랜드의 가방이나 옷을 입고 이슈가 되면 대중들은 그 상품을 따라서 소비합니다. 그 속에서 대중들은 연예인과 같이 유행을 이끄는 계층이 된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또한 요즘 유행하는 호캉스의 경우도 사례에 해당합니다. 최근 젊은 사람들이 호텔에서 바캉스를 즐기면서 소비하는 것은, 과거 호텔의 주요 소비층인 사람들과 자신들을 동일시하려는 심리적 효과가 존재합니다. 특히 SNS의 주 고객층인 요즘 세대들이 파노플리 효과를 많이 보여줍니다.
3. SNS세대는 파노플리 효과를 이용하는 기업의 주요 고객
SNS로 인하여 상류층의 생활 모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다양한 SNS에서 그들이 사용하는 제품, 소비 습관, 생활 패턴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젊은 세대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호텔을 향유하고, 값비싼 외제차와 핸드백을 구매하는 소비형태가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들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SNS 인플루언서'를 따라 소비하는 습관도 새롭게 나타나는 소비 형태입니다. 이 모든 사회적 소비 형태는 기저에 파노플리 효과가 작용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파노플리 현상의 정의와 사례를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SNS 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소비 형태를 파노플리 현상으로 분석도 해보았습니다. 개인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양화되어가면서 소비하는 모습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음 상식도 정리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상식] IPO의 뜻은 무엇인가요? (0) | 2021.07.08 |
---|---|
[시사상식] 맥거핀 효과 뜻이 과연 무엇일까요? (0) | 2021.05.28 |
댓글